서버 쪽도 공부하고, 이것저것 파면 팔수록 저만의 사이트를 갖고 싶단 생각이 커지고, 티스토리 같은 서비스형 블로그가 갖는 본질적 한계 때문에 티스토리를 떠나고 싶단 생각이 미약하게 피어오르기 시작하네요.
물론 무료로 이만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업체가 또 있을까 싶을 정도로 훌륭한 편이라 선뜻 떠나진 못하는 중입니다.
단점 중 가장 거슬리는 부분입니다.
수정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 억지로 자바스크립트로 페이지를 뜯어 고쳐가며 사용하는 건 사실 크게 불만족스럽지 않지만, 제가 넣지도 않은 스크립트나 css가 페이지 곳곳을 채우고 있는 건 굉장히 거슬립니다.
아무런 광고를 기재하지 않았음에도 페이지를 불러오면 Adguard가 요소를 차단했다고 표시되는 것도 썩 마음에 들지만은 않습니다.
(지금은 유튜브 영상을 bgm으로 쓰느라 차단되는 수가 좀 늘었긴 합니다.)
또한, 디렉토리를 별도로 지정할 수 없단 것도 꽤 안타깝습니다.
트와이스 전집 가사집 같은 포스트는 별도의 디렉토리에 파일을 넣어서
marshall-ku.com/twice/discography 같은 주소에 표시되게 하면 좋겠단 생각을 달고 살았으니까요.
그리고 또 아쉬운 건, 서비스형 블로그란 것입니다.
제가 무슨 짓을 한다 한들, 결국 제 블로그는 카카오의 정책 아래 움직이고, 티스토리 개발진이 블로그의 코어를 건드리면 전 대응할 방법이 없습니다.
물론 언젠가 티스토리가 서버를 종료하겠노라 선언하면 군말 없이 떠나야 한다는 것도 좀 안타깝고요.
물론, 상술했듯 장점도 꽤 많은 편입니다.
일단,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단 1원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웹서버를 만들면 서버용 컴퓨터를 돌리느라 전기세가 나가건 호스팅비가 나가건 고정 지출이 반드시 생깁니다.
다음으로, 용량과 트래픽이 무제한에 가깝습니다. 이 포스트처럼 한 포스트에 300MB가량의 움짤을 때려 박는 건 제 개인 서버였다면 아마 하지 않았을 확률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미지를 한 번에 업로드할 수 있는 용량이 50MB로 제한이 있지만, 여러 번에 걸쳐 업로드하면 끝나는 문제라 사실 무의미한 제한에 가깝습니다. (첨부파일 10MB 제외)
이건 해당 카테고리로 들어가서 글 목록을 긁어오는 방식으로 제작했는데, 그 말인즉슨 페이지 하나 불러올 때마다 10개가 넘는 페이지에 자료를 요청한단 뜻입니다. 개인 서버면 상관없겠지만, 호스팅 업체에서 어지간한 요금제로 서버 호스팅 중이었다면 아마 시도하지 않았을 것 같네요.
서비스하는 업체가 카카오(다음)인 것도 꽤 큰 장점입니다. 다음에서 검색하면 블로그에서 검색되고, 검색 엔진에 최적화도 꽤 잘 된 편이며, 네이버보단 덜하지만 유저도 꽤 있으니 망망대해에 혼자 있는 기분은 다른 블로그보단 조금 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래도 계속 혼자 말하는 것보다는, 가끔 내 말에 누군가 대답해주는 게 더 괜찮으니까요.
워드프레스나 netlify같은 곳에서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은 정말 양질의 글을 썼는데도 댓글은 놀라우리만치 고요하더라고요.
물론 이 블로그도 고요한 편이지만, 이사하면 지금보다도 더 고요해진단 뜻이니 좀 걱정은 되네요.
뭐 여하튼, 이 장점 저 장점 다 포기하기 싫으면 둘 다 하면 되는 거니, 일단 우분투로 서버를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랩탑에 Chrome remote desktop을 연결하고 데스크탑에서 작업했습니다.
Node.js 등으로 아예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만들어도 되기야 되겠지만, 과하게 힘을 빼는 게 아닐까 싶어 wordpress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저 창 띄우기도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ㅋㅋㅋ
Step 2로 넘어가는 것도 생각보다 힘들었습니다.
터미널에 종일 명령어를 치고 있는데, 세미콜론 안 찍어서 실행을 안 했으면 그렇다고 알려라도 주지 아무런 피드백도 없길래 잘 된 줄 알고 넘어갔는데, 알고 보니 특정 상황에선 세미콜론을 반드시 찍어야 하더라고요.
이것뿐 아니라 뭐 설정 잘못했다가 고생도 좀 하고 별일 다 있었네요.
저랬다고 끝도 아니더군요. 테마를 바꿨는데도 페이지에 css가 하나도 없어 콘솔을 열어보니 서버가 아닌 제 컴퓨터 로컬호스트에서 계속 파일을 가져오려고 시도하더라고요.
서버 주소는 뭐고 파일을 어떻게 가져오고 뭐 이런 거도 알아서 다 설정해야 합니다.
https://marshall-ku.tk/라는 무료 도메인을 발급받아 123.123.123.123 처럼 접속해야 하던 페이지를 조금 더 홈페이지답게 접근할 수 있도록 수정해뒀습니다.
물론 제가 랩탑을 꺼버리면 접속할 수 없습니다.
// 뭐 한 일주일 정도는 계속 켜두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혹시 모르는 일이니 들어가도 아무 페이지가 안 뜨면 '랩탑을 껐나 보다.' 해주시길 바랍니다. ㅎㅎ
저놈의 자물쇠 채우는 과정도 어찌나 험난하던지...
멋도 모르고 이것저것 수정하다 중요한 부분 잘못 설정해서 접속 자체를 꼬아버리질 않나, 뭐 다사다난했습니다.
물론 알고 보니 포트포워딩을 똑바로 안 해서 접근을 못 한 거였습니다.;;
이제 문제는 딱 하나가 남았네요.
어디서 글을 쓸 것이냐.
선택지는 총 세 가지 같습니다.
1. 티스토리
2. 구축한 웹서버 사용
3. 호스팅 업체 이용
1, 2는 위에서 계속 얘기했으니 3번도 가볍게 얘기를 해보자면, 사실 아직은 크게 매력을 못 느끼겠습니다.
그리 합리적이지도 않은 가격에, 트래픽 용량 제한 등이 걸려있으니...
그래도 업체를 이용하면 안정성이야 꽤 보장받을 수 있겠지만, 직접 서버를 구축해보니 이거도 꽤 매력이 있어 잘 모르겠네요.
용량도 대부분 크게 만족스럽지 않고 - 물론 개인 블로그엔 충분할지도 모르겠지만, TB단위가 익숙해진 상황에서 HDD를 쓰는데도 24개월에 16만 원에 5GB는 너무 작아 보이네요 - 늘린다 해도 1GB당 10만 원 중반대를 웃도는데, 그 돈이면 꽤 괜찮은 하드 4TB짜리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뭐 어느 정도 속도가 보장은 될 거고, 서버가 죽을 일도 좀 덜할 테니 염두엔 계속 두고 있습니다.
세상만사 일장일단이 없는 것이 없으니, 언제나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는 건 어렵네요.
웹서버 구축용 장비를 계속 알아보고 하는 걸 보면 어느 정도 답은 나왔나 싶긴 하지만서도...
저도 예전에 이런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지금은 그냥 귀찮기도 하고 없으면 없는데로 있으면 있는데로...,
그러다보니 티스토리 말고는 딱히 올릴만한데도 없고...,
그래서 나온 대안이 어딘가와 공유를 해야하는 곳이 생기면 파일서버에서 대용량파일은 링크를 걸고 단순노출은 어쩔수 없이 티스토리를 이용하는게 제일 편하다더라구요 ^^
혹시 좋은 방법 있으면 알려주세요 ^^
여담입니다,
드롭다운 메뉴에 화살표를 표현하고자 고민만 몇달한것 같네요 ^^a
마샬님의 카테고리에 화살표는 지금도 이해가 되지 않지만요 ㅎㅎ
비밀댓글입니다
호스팅 관리 비용이 사실 무시못하죠.. 저도 포트폴리오 때문에 호스팅을 따로 쓰긴 하는데..
티스토리에 포트폴리오를 갱신할까 심각하게 고민을 하게 만들더라구요. 물론 썩 좋은 방법은 아니지만..
그래도 마샬님이 어디로 옮기시던 계속 인연을 이어갔으면 좋겠어요^-^ 화이팅!